코발트 기반 삼원계 산화물 나노입자를 활용한 차세대 Li-S 배터리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문준혁 교수 협의 2 스피넬(spinel) 구조의 산화물 나노입자를 활용하여 리튬 폴리설파이드(LiPS)의 셔틀 효과를 억제하고, 리튬-황 전지의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차세대 태양광 발전을 위한 고내구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오세용 교수 협의 2 광흡수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쌍극자 모멘트 형성층과 봉지층을 추가하여 초기 광전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고온·장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효율 에너지 저장을 위한 이원종 금속산화물 나노복합 잉크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정봉근 교수 협의 2 금속산화물이 도핑된 전기전도성 잉크를 활용하여 에너지 저장 성능이 우수한 슈퍼커패시터를 제작하며, 이를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결합하여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친환경 촉매 기반 염수 리튬 추출 기술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허남희 교수 협의 2 염수를 원료로 하여 리튬을 고순도로 회수하는 방법으로, 화학적 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리튬을 탄산리튬 형태로 회수하는 방식에 관한 것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저비용·친환경 리튬 추출 혁신 기술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허남희 교수 협의 2 질산, 이산화탄소, 수소를 활용한 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고순도 리튬과 암모니아 화합물을 동시에 수득할 수 있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용량·고효율 차세대 리튬 황 배터리 기술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문준혁 교수 협의 2 리튬 황(Li-S)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해질 공여도 및 캐소드 흡착 용량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배터리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전도성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를 위한 나노복합막 기술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이희우 교수 협의 2 나노채널을 포함한 고분자막과 다면체 올리고머형 실세스퀴옥산(POSS) 기반 음이온 공여체를 적용하여 이온전도도를 높이고 연료전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배터리를 활용한 AI 기반 최적 에너지 입찰 솔루션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협의 2 딥러닝 및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에너지 발전량과 가격을 예측하고, 최적의 입찰값 및 충방전 전략을 결정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용량·고효율 리튬 황 배터리 기술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문준혁 교수 협의 2 금속산화물-탄소질 복합체를 캐소드 전극으로 활용하여 황 전환 반응 속도를 개선하고 방전 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성능 전력 반도체: FPS-MOSFET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광수 교수 협의 2 MOSFET 소자의 분리된 게이트 패턴들 사이에 플로팅 도전 패턴을 형성하여 기생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고, 온 저항과 항복 전압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차세대 반도체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빛을 최대한 활용하는 차세대 태양전지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문준혁 교수 협의 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에 파장 변환층을 추가하여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태양광 발전 기술에 관한 것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성능 전력 반도체: 헤테로 정션 MOSFET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광수 교수 협의 1 MOSFET 구조 내에 쇼트키 다이오드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헤테로 정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세대 반도체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성능 전력 반도체: 분할 게이트 MOSFET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광수 교수 협의 1 P+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이종 접합(hetero-junction) 바디 다이오드를 적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세대 반도체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성능 전력 반도체: MCD-MOSFET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광수 교수 협의 1 더미 게이트 하단의 p 베이스 영역에 다이오드 채널을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온 저항을 낮추고 스위칭 성능을 향상시킨 차세대 MOSFET 기술에 관한 것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고효율 전력 변환을 위한 차세대 MOSFET 소자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광수 교수 협의 1 소스 트렌치 내부에 P형 도전형 필라를 포함하여 전압 항복 특성을 높이고, 전력 변환 효율을 개선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재생에너지 예측 방법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TRL 3 협의 7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새로운 예측 방법을 제시하며, LSTM을 활용해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고,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오차를 보정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의 효율적 구현 방법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TRL 3 협의 7 복수의 마이크로그리드로부터 전력 및 지불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Generalized Nash Bargaining(GNB) 계산을 통해 전력 분배를 제어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구름의 움직임을 정확히 반영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TRL 3 협의 7 태양광 사이트의 공간 정보를 1차원 벡터로 표현하고, 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2차원 시공간 행렬을 생성하여, 뉴럴 네트워크 예측 모델을 개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새로운 지역 냉난방시스템: 낮은 비용과 높은 효율성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전도영 교수 TRL 3 협의 8 고온 온수와 폐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관 제어를 통해 냉난방 비용과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에 관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
인공지능에 기반한 더 정확한 배터리 수명 예측 방법 에너지/자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TRL 3 협의 5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해 전압, 전류, 온도 등의 데이터를 학습하고, 머신 러닝 모델(FNN, CNN, RNN)을 통해 배터리의 잔여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기술임 선택상담 상담신청